본문 바로가기
300x250

전체 글198

[CSS] Flex 아이템에 적용하는 속성들(1) Flex 아이템에 적용하는 속성들 flex - basis - 유연한 박스의 기본 영역 flex-basis는 Flex 아이템의 기본 크기를 설정합니다(flex-direction이 row일 때는 너비, column일 때는 높이). .item { flex-basis: auto; /* 기본값 */ /* flex-basis: 0; */ /* flex-basis: 50%; */ /* flex-basis: 300px; */ /* flex-basis: 10rem; */ /* flex-basis: content; */ } flex-grow 숫자값이 들어가는데, 몇이든 일단 0보다 큰 값이 세팅이 되면 해당 아이템이 유연한(Flexible) 박스로 변하고 원래의 크기보다 커지며 빈 공간을 메우게 된다. -여백의 비율이다... 2021. 8. 3.
[CSS] FLEX -컨테이너에 적용하는 속성 컨테이너에 적용하는 속성 1) flex vs inline-flex .container { display: flex; //한줄을 차지 /* display: inline-flex; */ //인라인 속성처럼 플렉스아이템의 너비의 합까지만 차지 } 2)) flex-direction - 배치방향설정 .container { flex-direction: row; 가로(행 방향) 왼->오 // flex-direction: column; 세로(열 방향) 위->아래 // flex-direction: row-reverse; 반대 가로 왼 위 } 3) flex-wrap -줄넘김 처리 .container { flex-wrap: nowrap; //기본값 줄넘김x // flex-wrap: wrap; // flex-wrap: wra.. 2021. 8. 2.
스프린트 cmarket_datadase 분석/리뷰 1. 먼저 스키마를 확인하기 2. 스프린트 진행 테스트 항목은 3가지 였다. 해당 유저가 작성한 모든 주문을 가져오는 함수를 작성 해당 유저의 주문 요청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함수를 작성 Cmarket의 모든 상품을 가져오는 함수를 작성 문제를 풀기전에 흐름을 알아보려고 한다. 1)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의 app.js로 들어간다. 2)이 밑에 두문장을 보면, 우리가 가진 주소뒤에 /users로 왔을때랑 /items로 왔을때 어디로 가야하는지 두번째 인자로 나와 있다. app.use('/users', router); app.get('/items', controller.items.get); 2-1) users로 갔을 때를 보게 되면, server/routes.js로 가게되면, 또 다시.. 2021. 7. 27.
[CSS] grid 개념정리(1) grid란? css는 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정의할 때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그 중 grid(그리드) 레이아웃의 끝판 왕이라고 할 수 있다. Flex는 한 방향 레이아웃 시스템이고 (1차원) Grid는 두 방향(가로-세로) 레이아웃 시스템 (2차원) Grid 용어정리 그리드 컨테이너 (Grid Container) => display: grid를 적용하는, Grid의 전체 영역 그리드 아이템 (Grid Item) => Grid 컨테이너의 자식 요소 그리드 트랙 (Grid Track) => Grid의 행(Row) 또는 열(Column) 그리드 셀 (Grid Cell) => Grid의 한 칸을 가리키는 말 그리드 라인(Grid Line) => Grid 셀을 구분하는 선 그리드 번호(Grid Number) => G.. 2021. 7. 27.
im_sprint_learn_sql 스프린트 분석 learnmysql part-3 목표 :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주어진 스키마를 구현할 수 있도록 SQL문 작성하기 1) .env.example 파일 확인 후 .env 생성하기 2) lib/common/mysql.js 에서 변수들이 어떻게 사용되나 확인하기 스키마 작성 (다음과 같이 만들어져야한다.) 파트3의 sql문은 비교적 쉬웠다. 테이블의 구조를 보기위한 sql문을 작성하는 건데 금방 찾으니까 패스~ part-4 파트 4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명령어 INSERT INTO 와 JOIN 을 활용하는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join은 outer(외부) join과 inner(내부) join으로 나뉜다. part 4-9 참조 아우터 조인은 OUTER(외부) JOIN 이란 조인 조건에서 동일한 값이 없는 행도 .. 2021. 7. 27.
데이터베이스 개념정리 + mysql 설치 방법 코드스테이츠의 섹션 쓰리의 시작은 자료구조-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정리해보려고한다. 3-Tier Architecture client-server-database로 구성된 구조이다. 작동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requset)하고, 서버는 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요청(requset)한다. 데이터베이스가 요청에 알맞는 데이터를 서버에 응답(response)하고, 서버는 응답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보내주어 응답(response)한다. DATABASE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는 어떤 것들을 기록한 정보이고, 데이터를 모아 둔 것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예전에는 일일이 손으로 정보를 기록하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컴퓨터의 발달로 컴퓨터를 이용해 .. 2021. 7. 26.
[자료구조] 시간복잡도와 Big-O 표기법 시간복잡도와 Big-O 표기법 우리가 알고리즘 문제를 풀때 중요한 것은 해답을 찾는 것이다. 더 나아가 그 문제를 좀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 좀더 효율적인 방법을 고민해 본 적이 있다면 시간 복잡도를 고민한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알고리즘에서 빠르다는 의미는 시간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알고리즘에서는 절차(step)의 수로 결정된다. 10번의 스텝이 필요한 알고리즘보단 5번의 스텝이 필요한 알고리즘이 더 훌륭하다고 볼수있다. 시간 복잡도를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Big-O(빅-오) Big-Ω(빅-오메가) Big-θ(빅-세타) 다른건 잘 모르겠고,Big-O 표기법이 자주 사용된다. 빅오 표기법의 종류는 O(1), O(n), O(log n), O(n2), O(2n) 등이 있다. .. 2021. 7. 19.
사용권한과 환경변수 사용권한 권한 정보 확인 터미널에 ls -l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된다. ls -l 1. 첫 글자는 - 또는 d 이다. d는 폴더, -는 파일이다. 2. 첫글자 뒤의 3글자씩 owner, group, other의 정보이다. 3. r, w, x는 각각 read permission, write permission, execute permission으로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나타낸다. 4. 맨뒤에는 파일이나 폴더 이름이 온다. 5. holloworld.js를 보면 owner의 권한은 rw이므로, 읽고 수정하는게 가능하다. group과 other는 읽기만 가능하다. 6. 그렇다면 linux라는 폴더는? user user는 파일의 소유자이다. 기본적으로 파일을 만든 사람이 소유자가 된다.. 2021. 7. 19.
반응형